미국 경제 지표

📈『𝗦𝘁𝗼𝗰𝗸 𝗠𝗮𝗿𝗸𝗲𝘁』𝗜𝗻𝗳𝗼./𝗦𝘁𝗼𝗰𝗸💕𝗨𝗦 2025. 2. 13.
반응형

📌 가장 중요한 6대 경제 지표

1️⃣ 비농업 고용보고서 (NFP) 🏆
2️⃣ 소비자물가지수 (CPI) 🔥
3️⃣ 생산자물가지수 (PPI) 📈
4️⃣ 연준 금리 결정 (FOMC) 💰
5️⃣ GDP 성장률 📊
6️⃣ PCE 인플레이션 🏦

 

※ 이 지표들은 경제 및 금융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므로, 투자와 매크로 분석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. 🚀


1️⃣ 비농업 고용보고서 (Non-Farm Payrolls, NFP)

 

  • 발표일 : 매월 첫 번째 금요일
  • 발표기관 : 미국 노동부 (Bureau of Labor Statistics, BLS)
  • 중요성
    • 미국 노동시장의 핵심 데이터로, 경제 활동의 강도를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경기 선행 지표
    • 노동시장 강세(고용 증가) 👉 소비 증가 👉 경제 성장 가속 👉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 👉 연준의 긴축 정책 가능성
    • 노동시장의 약세(고용 감소) 👉 소비 위축 👉 경제 성장 둔화 👉 연준의 완화적 정책 가능성
  • 구성 요소 :
    • 비농업 부문 고용자 수 변화 (농업 제외)
    • 평균 시간당 임금 (Wage Growth) 👉 인플레이션 영향
    • 노동 참여율 (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)

 시장 반응 :

  • 예상보다 고용 증가 👉 경제 강세 👉 달러 강세 🔺 , 주식하락(긴축 가능성)🔻, 국채 금리 상승🔺
  • 예상보다 고용 감소 👉 경기 둔화 신호 👉 달러약세 🔻 , 주식상승(완화 가능성) 🔺 , 국채 금리 하락 🔻

2️⃣ 소비자물가지수 (Consumer Price Index, CPI)

 

  • 발표일 : 매월 중순 (12 ~ 13일 경)
  • 발표기관 : 미국 노동부 (Bureau of Labor Statistics, BLS)
  • 중요성 :
    •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
    • CPI 상승 👉 연준의 긴축 정책(금리 인상) 가능성 증가
    • CPI 하락 👉 연준의 완화 정책(금리 인하) 가능성 증가
  • 구성 요소:
    • CPI 총지수 (Headline CPI) : 식품, 에너지 포함
    • 핵심 CPI (Core CPI) : 식품, 에너지 제외 👉 연준이 더 주목하는 지표 

시장 반응 :

  • 예상보다 CPI 상승 👉 달러 강세🔺, 주식 하락🔻, 국채 금리 상승🔺
  • 예상보다 CPI 하락 👉 달러 약세🔻, 주식 상승🔺, 국채 금리 하락🔻

3️⃣ 생산자물가지수 (Producer Price Index, PPI)

 

  • 발표일 : 매월 중순 (CPI와 비슷한 시기에 발표)
  • 발표기관 : 미국 노동부 (Bureau of Labor Statistics, BLS)
  • 중요성 :
    • CPI의 선행 지표 역할 (생산 비용이 증가하면 소비자 가격 상승 가능성이 높아짐)
    • 기업이 비용 증가를 소비자에게 전가할 경우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짐
  • 구성 요소:
    • PPI 총지수 (Headline PPI) : 모든 품목 포함
    • 핵심 PPI (Core PPI) : 식품·에너지 제외

시장 반응:

  • 예상보다 PPI 상승 👉 CPI 상승 가능성 🔺 👉 연준 긴축 가능성 🔺 👉 달러 강세🔺, 주식 하락🔻, 국채 금리 상승🔺
  • 예상보다 PPI 하락 👉 CPI 하락 가능성 🔺 👉 연준 완화 가능성 🔺 👉 달러 약세🔻, 주식 상승🔺, 국채 금리 하락🔻

4️⃣ 연준 금리 결정 (FOMC Meeting & Interest Rate Decision)

 

  • 발표일 : 연 8회 (약 6주마다)
  • 발표기관 : 미국 연방준비제도 (Federal Reserve, Fed)
  • 중요성 :
    • 연준이 금리를 조정하면 경제 성장, 인플레이션, 고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
    • 금리 인상 : 경기 과열 억제, 인플레이션 통제 👉 경제 둔화 유발 가능성
    • 금리 인하 : 경기 부양, 기업·가계 대출 부담 완화 👉 경제 활성화 가능성
  • 구성 요소:
    • 연방기금금리(Federal Funds Rate) 조정
    • FOMC 성명서 & 경제 전망 (Dot Plot)
    • 파월 의장 기자회견 (Press Conference)

시장 반응 :

  • 금리 인상 시그널 👉 달러 강세🔺, 주식 하락🔻, 국채 금리 상승🔺
  • 금리 동결 또는 인하 시그널 👉 달러 약세🔻, 주식 상승🔺, 국채 금리 하락🔻

5️⃣ GDP 성장률 (Gross Domestic Product, GDP)

 

  • 발표일 : 분기마다 (1차 예비치, 2차 수정치, 최종 확정치)
  • 발표기관 : 미국 상무부 (Bureau of Economic Analysis, BEA)
  • 중요성 :
    • 경제 성장률을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
    • 경기 침체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자료
    • 연준 정책과 기업 실적에 중요한 영향을 줌
  • 구성 요소 :
    • 소비 (Consumer Spending, GDP의 70% 차지)
    • 투자 (Investment)
    • 정부 지출 (Government Spending)
    • 순수출 (Net Exports, 수출 - 수입)

시장 반응 :

  • 예상보다 GDP 상승 👉 경제 강세 👉 달러 강세🔺, 주식 상승🔺, 국채 금리 상승🔺
  • 예상보다 GDP 둔화 👉 경기 침체 가능성 👉 달러 약세🔻, 주식 하락🔻, 국채 금리 하락🔻

6️⃣ 개인소비지출 (PCE,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)

 

  • 발표일 : 매월 말
  • 발표기관 : 미국 상무부 (Bureau of Economic Analysis, BEA)
  • 중요성 :
    • 연준이 가장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
    • CPI보다 더 포괄적인 소비 지출 데이터 포함
  • 구성 요소:
    • PCE 총지수 (Headline PCE) : 전체 소비자 지출
    • 핵심 PCE (Core PCE) : 식품·에너지 제외

시장 반응:

  • 예상보다 PCE 상승 👉 인플레이션 지속 가능성 🔺 👉 연준 긴축 가능성 🔺 👉 달러 강세🔺, 주식 하락🔻, 국채 금리 상승🔺
  • 예상보다 PCE 하락 👉 인플레이션 둔화 가능성 🔺 👉 연준 완화 가능성 🔺 👉 달러 약세🔻, 주식 상승🔺, 국채 금리 하락🔻

 

반응형